서울시, 잠실에 첨단 돔구장 만든다…스포츠·마이스 복합단지 조성

입력
2023.09.18 19:59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 버금가는 첨단 돔구장이 서울특별시 잠실에 생길 전망이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북미 출장 중인 오세훈 서울 시장은 현지시각으로 16일 토론토 로저스센터를 방문, 잠실 일대에 돔구장을 비롯한 첨단 스포츠·전시컨벤션 시설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이후 방문한 ‘토론토 워터프론트(Waterfront)’ 개발사업지를 언급하며 잠실 주변 한강과 탄천 일대를 함께 개발해 매력적인 수변생태․여가문화공간으로 발돋움시키겠다는 구상도 덧붙였다.

 잠실 돔구장(안) 실내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울시는 “돔구장을 포함해 세계적 수준의 스포츠·마이스 복합단지와 함께 한강과 연계한 수변생태문화공간을 조성한다. 시는 관계자 협의 및 검토를 거쳐 잠실 돔구장 단지 배치 계획을 확정했으며 시설별 설계를 구체화 중”이라고 설명했다.

오세훈 시장이 다녀간 로저스센터는 ‘코리안 몬스터’ 류현진의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홈 구장으로 약 41,000석 규모의 돔 경기장이다. 토론토 메리어트시티센터호텔(Toronto Marriott City Centre Hotel)과 연계 조성돼 객실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로저스센터는 최근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프리미엄석 확대 등 대대적인 시설개선 공사를 진행 중이며, 메리어트시티센터호텔은 시즌 중에는 주로 야구관객이, 오프 시즌에는 컨벤션센터 방문객 등이 이용하고 있다. 숙박비는 경기 일정에 따라 한화 약 40만 원~250만 원 수준으로 유동적이다.

서울시는 잠실운동장·마이스 복합사업 우선협상대상자인 ‘(가칭) 서울스마트마이스파크(주간사: 한화)’와 현재 돔구장 건립을 구체화 중으로, 국제경기 유치가 가능한 3만 석 이상의 국내 최대 규모의 야구장을 계획하고 있다.

실제로 돔구장이 건립된다면 우천․폭염 등 악천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올스타브레이크 및 오프 시즌에는 대규모 공연, 행사도 개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내, 외야를 순환하는 360도 개방형 콘코스(관중석과 연결된 복도공간)와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각종 프리미엄석(스카이박스․필드박스․패밀리존 등)도 도입하고, 야구장과 호텔을 연계 조성해 객실․레스토랑․피트니스 등 호텔 내 여러 공간에서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서울시는 우선협상대상자와 돔 야구장, 전시컨벤션센터, 업무․상업․숙박시설 등 공공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갖춘 복합시설 조성을 위한 종합 협상을 진행 중으로, 조속히 협상을 마무리하고 기재부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2024년 말 실시협약 체결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25시즌 종료 후 잠실야구장 철거 작업에 들어갈 예정인 서울시는 2026년 돔구장 건설을 시작해 2031년 말 준공할 계획이다. 다만 이에 따라 현재 잠실야구장을 홈으로 쓰고 있는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는 이 기간에 거처할 임시 홈 구장을 알아봐야 한다. 현재 이들은 한국야구위원회(KBO)와 함께 서울 및 인근에 위치한 목동 야구장, 고척 스카이돔, 인천 SSG랜더스필드, 수원 KT위즈파크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한주 MK스포츠 기자]



MK스포츠
스포키톡 1,807 새로고침
로그인 후 스포키톡을 남길 수 있어요!
  • 우승할수있을까
    첨단 돔구장이라고 하니까 더 기대되네요. 서울에 첨단 돔구장에서 야구 볼 날을 기다려봅니다
    7일 전
  • 오이ㄱ
    우천취소 될때마다 돔구장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했는데 서울에 첨단 돔구장 설립한다니 기대가 되네요. 첨단 돔구장에서 야구볼 날 기다려져요
    7일 전
  • 우승을위해
    서울시에 지어지는 첨단 곰구장은 어떤 모습일지 벌써 기대가 되네요. 멋진 돔구장 잘 짓기를 바랍니더
    7일 전
  • 바람바람밤
    서울에 첨단 돔구장 너무 기다려지는데요. 계획대로 잘 되면 멋질 것 같아요
    7일 전
  • 은정이당
    돔구장의 필요성은 잘 알고 있는데 장대하고 종합시설 에최첨단 돔구장건설 구상이전에 현재 사용중인 엘지와 두산의 향후 6년간 사용할수 있는 공간은 준비해놓고 돔구장은 몇년도 부터 짓겠다고 발표이전에 충분히 엘지와 두산과의 대책마련부터 했어야 하는게 아닌지 참으로 졸속행정의 표본이 되겠군요
    7일 전
실시간 인기 키워드
  • 권순우 사과
  • 손흥민 이주의 팀
  • 수원 염기훈 감독 대행 선임
  • 윤이나 징계 감경
  • 축구 키르기스스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