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환보다 잘하겠다’는 신인들에게 박지환이 말했다 “프로와 아마추어는 다르다”

입력
2025.03.13 16:02


2024시즌 유일한 야수 1라운드 신인이었던 SSG 박지환은 프로 데뷔 시즌부터 타율 0.276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프로 2년 차를 맞는 올해는 팀 내 기대치가 훨씬 더 커졌다. 타격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줘야 하고, 수비에서도 할 일이 많다. 이숭용 SSG 감독은 3루수 최정, 유격수 박성한의 백업으로 일찌감치 박지환을 낙점했다. 특히 최정의 경우 일주일에 4경기 정도만 3루수로 내보낼 계획이라 박지환의 역할이 크다. 여기에다 외야수로도 나갈 준비를 해야 한다. 이 감독은 박지환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내야뿐 아니라 외야 가능성까지 시험하고 있다.

박지환은 “3루는 작년부터 펑고를 많이 했다. 유격수는 평생 해오던 거라서 위화감이 없다”고 했다. 외야 수비는 좀 더 적응이 필요하지만, 한창 재미를 붙이는 중이기도 하다. 박지환은 “내야보다 수비 부담은 적지만 전력 질주해야 될 때가 많더라. 타구 판단하고 뛰어가서 잡는 게 재미있다”고 말했다.

타격도 준비를 열심히 했다. 박지환은 “마무리 캠프부터 하체를 안정시키는데 신경을 많이 썼다. ‘토 탭’으로 타격하면서 타이밍을 일관성 있게 잡는 연습도 많이 했다”면서 “공을 볼 때 몸이 흔들리는 게 확실히 작아졌고, 타이밍도 좀 더 일정하게 잡을 수 있게 됐다. 그러다 보니 나쁜 공에 손이 좀 덜 나가게 되더라”고 말했다.



이제 겨우 프로 2년 차인 박지환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벌써 따라잡고 싶은 목표가 됐다. 2025시즌 야수 1라운드 신인 두산 박준순(19)이 그렇다. 올해 초 박준순은 “목표는 신인왕”이라면서 “지난해 박지환 선배 성적보다는 더 좋은 결과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박지환은 후배의 그런 패기 있는 포부를 전해 듣고 “저보다 재능 있는 선수들이 많다. 더 잘 치는 선수도 있을 것”이라고 웃으면서도 “확실히 아마추어와 프로는 다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자신의 신인 시절을 돌아봤다. 박지환은 “체력 떨어지는 여름부터, 그리고 제가 생각한 볼 배합대로 공이 안 들어왔을 때 프로는 다르다는 걸 많이 느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 말대로였다. 지난 시즌 전반기 박지환은 타율 0.364로 펄펄 날았다. 6월에는 월간 타율 0.411을 기록했다. 그러나 한여름 더위가 시작되면서 박지환의 타격 페이스는 크게 떨어졌다. 7월 월간 타율이 0.237로 급락했고, 8·9월은 더 떨어졌다. 시즌 내내 꾸준하게 타격감을 유지하는 건 올 시즌 박지환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박지환은 “올 시즌 목표는 일단 1군에서 풀타임 시즌을 보내는 거다. 감독님께서도 기회를 많이 주실 것 같다. 100경기 이상은 나가고 싶다. 캠프부터 워낙 준비를 잘했다. 많이 설렌다”고 말했다.
스포키톡 새로고침
로그인 후 스포키톡을 남길 수 있어요!
첫 번째 스포키톡을 남겨주세요.
이미지 실시간 인기 키워드
  • 토트넘 3경기 무승
  • SK 우승
  • KBO 시범경기
  • MLB 다저스 한신
  • K리그 전북 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