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빈집 활용 재생사업 추진… 인구 유입 기대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 이하 ‘도’)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 쇠퇴 및 지방 소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빈집 정비 계획을 직접 수립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현재 도내에서는 매년 400여 동의 빈집을 정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집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기존에는 시장·군수를 중심으로 도시 및 농어촌 지역이 분산 관리되는 구조로 인해 빈집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도는 지자체 및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실효성 높은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는 행정안전부의 빈집 정비 국고보조사업과 시·군별 자체 빈집 정비사업을 통해 총 443동의 빈집을 정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33억 3,7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정비 방식은 각 시·군 실정에 맞게 빈집 철거, 개량, 활용 등의 형태로 추진된다.
또한, 도는 빈집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빈집 정비 계획이 미수립된 시·군에 대한 계획 수립을 독려하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문가 협업을 통해 도 차원의 통합적인 빈집 정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빈집 실태조사 ▲철거 및 활용 계획 ▲안전관리 계획 등을 포함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빈집 정보 플랫폼을 활용한 빈집 거래 활성화를 지원하고, 단순 철거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빈집을 활용한 재생사업을 적극 도입한다. 이를 통해 저렴한 주택, 주차장, 도시 텃밭 등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지역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 인구 유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김순하 강원특별자치도 건축과장은 “매년 400여 동의 빈집을 정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 및 지역 소멸이 가속화되면서 빈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빈집 거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빈집 정보 제공 시스템을 마련하고, 빈집 활용 중심의 정비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강원|장관섭 기자 localcb@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