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홍보비 효과는 미지수… 도지사 관용차 논란 ‘도마 위’

경기도가 2024년도 행정사무감사 결과를 지난 2월 6일 공개했다. 총 2,223건의 지적사항 중 1,256건이 조치 완료됐으나, 967건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도지사 관용차량의 주차 규정 위반, 불투명한 업무추진비 집행, 홍보 예산 낭비 등 도정 운영의 문제점이 도마 위로 오르고 있다.
●도지사 관용차량, 장애인 주차구역 불법 점유! 역주행 주차까지…
김동연 도지사의 관용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불법 주차하고, 역주행 주차까지 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 이에 따라 도는 운전자에게 교통안전교육 및 심화교육을 의무화하는 조치를 단행했지만, “도지사 차량이 법을 어기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100억 홍보비, 효과 없이 낭비?
경기도는 매년 1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홍보에 투입하지만, 일부 매체의 홍보 효과가 낮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따라 언론홍보위원회를 통해 광고매체 선정 기준을 개선하는 조치를 완료했지만, 이미 낭비된 예산에 대한 책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해외 홍보사업, 특정 민간업체 홍보 의혹
경기도의 해외 홍보 사업에서 특정 민간업체가 과도하게 노출된 사례가 밝혀졌다. 도는 “콘텐츠의 매력을 높이려다 의도치 않게 특정 업체가 부각된 것”이라 해명했지만, 공공성과 중립성 훼손 논란이 일고 있다. 앞으로 ‘경기도 전체’를 홍보하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재정립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회의수당 부적절 지급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일부에서 위원회 및 회의수당 지급 규정을 위반한 사례가 지적됐다. 경기도의료원, 경기연구원, 경기농수산진흥원 등 7개 기관이 감사 대상에 포함됐다. 도는 향후 감사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2025년 3월부터 9월 회계 일상경비 집행실태 검사에서도 수당 지급의 적정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경기도, 도민 신뢰 회복 가능할까?
이번 행정사무감사 결과는 경기도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감 부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해결되지 않은 967건의 지적사항에 대한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도민의 세금이 올바르게 사용되고 있는지 면밀한 감시가 요구된다. 경기도는 도의회와 협력해 보다 책임감 있는 도정을 운영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질적인 변화가 뒤따르지 않으면 비판 여론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경기|장관섭 기자 localcb@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