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감사원은 기관 운영 전반에 걸쳐 부당운영 논란이 제기된 대한체육회에 대해 현장감사에 착수했다.
17일 정부에 따르면 감사원 행정안전2과는 이날부터 4월 4일까지 대한체육회와 회원단체, 문화체육관광부를 상대로 대한체육회 운영 및 관리·감독실태에 대한 실지감사(현장감사)를 진행한다.
감사원은 국가대표 선발과정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 문제는 물론 선수훈련·활동 지원과 부상·인권침해 등에 따른 보호에 대해 불공정한 계약과 적시성 논란이 불거진 대한체육회와 산하 종목단체 등의 지도·감독 등 운영 실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국회·언론에서 제기된 권력독점과 예산 부당집행 의혹 등 대한체육회와 산하 단체의 구조적 문제, 보조금·후원금 등 예산집행 과정상의 부조리 여부, 문체부의 관리감독 등을 전반적으로 살피게 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11월 27일부터 대한체육회 운영 등에 대한 특별감사를 진행한다고 밝히면서 자료수집에 착수한 바 있다. 감사원은 실지감사에 나서기 전 서면 및 대면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감사원은 지도자·선수 선발 과정의 불투명 또는 부당 개입, 선수훈련·활동지원 과정의 불공정 또는 부당 계약, 대한체육회와 산하 종목단체의 보조금·후원금 유용 또는 부당 집행 등 대한체육회와 산하 단체 운영상 비리 제보도 받아왔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해 9월 감사원에 대한체육회에 대한 공익감사를 청구했고, 대한체육회도 문체부에 대한 공익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당시 문체부는 대한체육회의 부적정한 운영 전반에 관한 문제점을 점검하겠다며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파리 올림픽 참관단 운영을 비롯해 후원사 독점공급권 계약, 특정업체 일감 몰아주기 등을 문제삼았다.
대한체육회도 지난해 10월 문체부가 대한체육회를 거치지 않고 생활 체육 예산을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거나, 국회서 확정된 사업예산 집행과정에서 문체부가 과도하게 개입하고 고의로 사업승인을 지연했다는 등의 이유로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공직복무점검단'도 지난해 10월부터 한 달간 대한체육회 점검을 진행해 이기흥 전 대한체육회장 등 8명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수사의뢰했다.
점검단에 따르면 △직원부정채용(업무방해) △후원물품 사적 사용(횡령) △물품 후원 요구(금품 등 수수·제삼자뇌물) △예산낭비(배임) 등 각종 비위 혐의가 드러났다.
한편 논란이 된 이기흥 전 회장은 지난달 치러진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 유승민 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에 밀려 낙선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체육계의 고질적·구조적 문제는 물론 부당한 관행을 개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